하이퍼V공부하다 적는다.

스위치 변경없이 독립 전환
(sw independent)
doesn't care
nic where in
(may be same switch or not)
주소해시 포트와 주소를 기분으로 해쉬하여 각 NIC에게 배포
HYPER-V포트 하이퍼V의 맥 주소가지는 가상스위치를 기반으로 분류
동적(기본) *다른 두개를 다 조합한다
아웃바운드는 포트와 주소로 해시 해서
인바운드는 하이퍼 V에서 처럼 분산하여 받는다.
스위치 변경있게 정적팀구성
(static team)
이프로토콜을 스위치에서 어떻게 장애파악하는지 프로토콜이 없어서
작동안할수 있다?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Link_aggregation
   
   
   
LACP 스위치에서 지원해야함    
   
   
3. Teaming Mode 와 Load Balancing Mode 조합 사용의 예

Native Host 에서는 스위치와 호환이 문제가 되는 경우 Switch Independent + Address Hash 조합을, 스위치의 도움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Switch Dependent (LACP) + Dynamic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VM 환경에서는 Switch Independent + Dynamic 구성이 권장됩니다.

- Switch Independent + Address Hash : 이 모드로에서 Inbound 트래픽은 하나의 Team Member NIC 로만 전달 되므로, 한개 Team Member NIC 의 대역폭을 넘어서 전송될 수 없습니다. 이 모드는 다음과 같은 경우 선택될 수 있습니다.

o  두개의 Team Member 에서 Active/Standby 모드를 사용할 때
o    스위치에 의존하지 않는 일반적인 Teaming 구성이 필요할 경우
 
- Switch Independent + Hyper-V port : VMQ 를 사용하는 VM 들에서 최상의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.
 
- Switch Independent + Dynamic : Dynamic Load Balancing 알고리즘은 Team Member 의 사용율을 보고 가장 최적의 Member 로 트래픽을 재분산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. 개별 Flow 가 하나의 Member NIC 로 전달되고 있는 중일지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최적의 NIC 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합니다. 이 모드는 VM 에서 Teaming 이 사용될 때 선택될 수 있습니다.
 
- Switch Dependent (LACP) + Dynamic : Dynamic Load Balancing 알고리즘의 장점을 그대로 가져오며, Inbound 트래픽을 스위치가 결정하여 분산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. 이 설정은 Switch Dependent 설정이 가능할 때 가장 최상의 구성방법입니다.

빨간거 쓰라~

설명달아 줄 사람 좀더 부탁 한다!

+ Recent posts